안녕하세요. 개미입니다.
지난 2월 이후 주유소 가기가 겁이 나는데요. 왜 이렇게 유가가 치솟고 있는지와 경유가 왜 휘발유보다 비싼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경유가 휘발유보다 더 비싼 이유
작년까지만 하더라도 경유가 휘발유에 비해 150원에서 200원 정도 저렴하였는데 올해부터 가격이 같아지더니 여름부터는 오히려 경유가 더비 싸지다 지금은 리터당 250원가량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.
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및 유류세 인하로 더욱더 경유는 비싸지고 있습니다.
11월 3주 국내 유가 동향
한국석유공사 오피넷의 11월 3주 차 국내 유가 동향에 따르면 휘발유 판매 가격은 전주 대비 0.9원 내린 1,658.7원/L로 10주 연속 하락 기록하였으나, 경유 판매 가격은 전주 대비 4.3원 오른 1,888.8원/L입니다.
21년도에는 휘발유가 경유보다 200원가량 비싸게 팔렸지만 22년 봄부터는 경유와 휘발유 가격이 역전되어 이제는 경유가 휘발유보다 230원가량 더 비싸지는 상황이 되었습니다.
휘발유 가격은 21년 대비 60원가량 상승하였지만 경유는 500원 등유는 650원가량 상승하였습니다.
경유가 더 비싼 이유? (전쟁, 유류세)
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싼 이유의 가장 큰 원인은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전쟁 때문입니다. 러시아는 세계 3대 원유 생산국입니다. 유럽의 경우 경유의 60%를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있으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경제제재로 경유 수입을 하지 못하니 수급 문제로 인해 가격 폭등이 이어졌습니다.
경유는 자동차뿐 아니라 선박 및 중장비 전쟁물자 등 다양한 분야의 원료로 사용되어 국제시장에서는 경유가 휘발유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습니다.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970년대~1980년대에는 휘발유는 사치품으로 여겼으며, 경유는 경제에 필요한 산업용이라는 인식으로 인하여 유류세 반영을 휘발유에 대해 더 높게 책정하였습니다.
유류세는 휘발유가 1L당 820원, 경유가 1L당 581원이 부가되고 있는데 유가의 폭등으로 인하여 정부에서는 유류세 인하 조치를 시행 중에 있습니다. 현재 37% 인하 적용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휘발유는 304원 경유는 212원의 세금이 낮아졌습니다. 그로 인하여 휘발유가 경유에 비해 92원가량 더 많은 혜택을 보고 있습니다. 유류세 자체가 달랐기 때문에 휘발유의 가격이 더 많이 낮아진 것입니다.
언제까지 지속될까?
일단은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이 마무리되는 것이 가장 급선무이고 그로 인한 국제 유가 안정 및 달러 안정으로 이어져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.
중국의 경기침체로 인해 국제유가가 80불 아래로 내려오기는 했지만 아직 높은 달러와 유가는 경제에 큰 걱정거리입니다.
11월 말 12월 이제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되면 난방에 사용되는 경유 및 등유의 수급난으로 인한 더 큰 혼란이 올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
도시가스요금 36% 전기요금 18%, 지역난방비 34% 등등... 에너지의 가격이 자꾸 올라가는 게 올해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어려운 겨울이 될 것 같습니다.
'잘모르지만 공부하며 끄적이는 경제이야기 > 세계 경제상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미국주식] 2023년 1월 2주차 실적발표일정 및 경제일정 (0) | 2023.01.11 |
---|---|
[경제신조어] 인플레이션의 변화 슈링크플레이션 (0) | 2022.11.30 |
인플레이션, 디플레이션, 스태그플레이션 의미 및 경제 영향 (0) | 2022.11.17 |
미국 10월 CPI 발표 및 분석 (0) | 2022.11.11 |
2022년 11월 FOMC결과 요약정리 (1) | 2022.11.03 |